728x90

아이들에게도 어른에게도
책읽기는 늘 숙제에요.
대한 민국은 현재 1분 이내의 숏폼에 빠져 있어요.
틱톡 15초~ 릴스 15초~ 요즘 대세 숏폼까지
틱톡이나 릴스나 머무는 시간은 10초 남짓이죠.
위로 위로 스크롤을 올릴때 마다
그 지식이 내것이 된 냥 하지만
쉽게 들어 온 지식은 쉽게 나가는 법입니다.
이런 패턴이 반복되다 보면 지구력과 주의 집중력이 떨어지게 됩니다.
몰입의 경험이 없으니 일부 학생들은 씹어서 떠 먹여 주는 지식만 소화할 수 있다네요.
독서 얼만 만큼 해야 평균 정도는 될까요?
1분간 대화했을 때 100~125단어를 말한다고 해요.
1분간 읽을 수 있는 단어는 몇 개일까요?
1분 동안 읽을 수 있는 단어는 400개 정도 된다네요.
하루 평균 30분 독서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
400× 30 × 365 일은 4380000단어
1권이 대략 75000단어 정도 되니까
나누면 1년이면 58권
60년이면 58 ×60 은 3480권
어떠세요?~~
전투력이 상승되시는 지요?
100권 읽기 도전이 아니라
"읽다보니 100권 읽었어."
"책은 마음의 양식이고 빛입니다.'
어때요?
수치가 눈에 들어 오시나요?
"책을 읽는 습관은
인생의 친구를 만나는 것입니다."
강의 중 ~
#책 #공부 #인생 #매일 30분
독서교육 사고 유형 분류표

책을 읽는 것은 여행을 하는 것과 같고
좋은 책을 만나는 것은 과거의 훌륭한 사람들과 만나는 것과 같다.
공감하셨다면 좋아요. 댓글
응원해주시고 싶으시면 광고 꾹 ~~
🤗🤗🤗🤗🤗🤗🤗🤗🤗🤗🤗🤗